최초의 국민모금운동, 국채보상운동

아카이브를 통해 최초의 국민모금운동인 국채보상운동을 알아본다.

일본, 대한제국의 경제를 파괴하다

일본은 1894년 일어난 청일전쟁 시기부터 우리나라에 적극적으로 차관을 제공했다. 1904년 제1차 한일 협약이 체결되고 고문정치가 시작되면서, 그들은 더욱 노골적으로 대한제국의 정치·경제 등에 관여하기 시작했다.
재정 고문으로 부임한 메가타 다네타로(目賀田種太郎, 1853~1926)는 여러 명목으로 차관을 도입했고, 우리 민족을 탄압하기 위한 경찰 기구와 일본인 거류민을 위한 시설에 충당했다. 1907년 국가의 빚은 1,300만 원에 이르렀다.
이는 당시 대한제국의 한 해 예산과 비슷한 수준으로 현재 물가로 환산한다면 약 3,300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나라를 되찾기 위해 백성들이 나서다

1907년 1월, 대구에 설립된 출판사 광문사의 부사장 서상돈은 문회명을 대동광문회로 개칭하기 위한 특별 회의에서 절약·금연운동을 통해 국채를 상환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사장 김광제와 함께 국채보상운동 취지서를 작성하고, 모금을 위한 대구군민대회를 열어 취지서를 낭독했다. 이는 <대한매일신보>와 같은 여러 신문에 게재되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서울과 각 지방에 퍼져 나가 국민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나라의 빚을 갚기 위한 모금운동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까지도 활발히 전개되는 시작점이 되었다. 전국에서 20여 개의 국채보상운동 단체가 창립되고, 운동에 참여한다는 취지문을 배포했다.
<대한매일신보>, <황성신문> 등 언론사들도 이 소식을 지면에 실어 홍보 역할을 자처했다. 왕실, 언론기관, 지식인 단체뿐만 아니라 여성, 기생, 백정 등까지 대한제국의 백성이라면 누구라도 나라의 빚을 갚기 위해 의연(義捐)했다.
부산에서 논의되어 대구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이후 전국으로 퍼져나간 운동을 총괄하고자 <대한매일신보> 내에 국채보상지원금총합소가 설치되었고, 같은 시기 국채보상연합회의소가 조직되었다.

운동에 참여한 기생 앵무에 관한 기사 (‘대구 기생 앵무의 의연’, 대한매일신보, 1907년 3월 28일자)
1907년 2월 21일, 대구민의소가 100원의 의연금을 전달한 김윤란에게 발급한 영수증, 개인소장

희미해져 간 국채보상운동의 들불, 운동의 의의

나라의 빚을 갚기 위해 시작된 경제적 구국 운동은 국권 회복을 위한 민족운동으로 커갔다. 일제 통감부는 전국으로 확대되는 운동을 보며 위기감을 느끼면서 방해 공작을 펼치기 시작했다. 운동을 적극적으로 알렸던 <대한매일신보> 사장 베델을 고국으로 추방하려 술책을 부리고, 신문사와 국채보상지원금총합소 총무였던 양기탁을 “대한매일신보사가 보관한 보상금 3만 원을 배설(베델), 양기탁 두 사람이 횡령 소비하였다.”라는 내용의 ‘국채보상금소비사건’을 조작하여 그를 체포했다.
공판 결과 증거 불충분으로 무죄를 선고받았지만, 중심인물이 횡령 사건에 휘말리면서 운동의 들불이 점차 사그라져갔다.

의연금 일부를 횡령해 체포된 양기탁이 증거불충분으로 풀려났다는 내용을 담은 기사
의연금 일부를 횡령해 체포된 양기탁이 증거불충분으로 풀려났다는 내용을 담은 기사
의연금 일부를 횡령해 체포된 양기탁이 증거불충분으로 풀려났다는 내용을 담은 기사(‘양기탁씨 방면’, 공립신보, 1908년 9월30일자)

국채보상운동은 대한제국 시대에 피지배계층인 일반 민중들이 주도한 최초의 국민모금운동이다. 이들은 단연(斷煙)·금주(禁酒)하고, 반찬의 가짓수를 줄여 모은 돈과 소중하게 보관해두었던 패물을 납부하며 나라를 지키기 위한 국민의 책임을 다했다.
이번 운동을 통해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 살고 있는 동포들까지 폭넓은 연대가 이뤄지면서, 이후 독립운동을 지속적으로 해나갈 수 있는 발판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