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DS 국채보상운동 알아보기

전 국민이 함께 힘을 모았던 국채보상운동을 살펴보아요!

국채보상운동이 무엇인가요?

국채보상운동은 1907년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최초의 국민모금운동이에요.
일본은 우리나라 경제에 간섭하면서 점점 많은 돈을 일본으로부터 빌리게 했어요.
그 결과 우리나라의 빚은 1,300만 원이 되었답니다. 지금의 돈으로 환산한다면 3,300억 원 정도로 정말 큰돈이었어요. 대구에 만들어진 작은 출판사, 광문사의 서상돈 부사장은 문회의 이름을 대동광문회로 바꾸는 특별회의에서 나라의 빚이 1,300만 원이 넘으니 다 함께 금연하여 돈을 아껴서 나라의 빚을 갚자고 제안했어요. 1907년 2월 21일, 대동광문회(광문사) 사장 김광제와 부사장 서상돈은 국채보상운동을 알리기 위해 쓴 취지서를 많은 사람들 앞에서 낭독하며 큰 호응을 이끌어냈어요.
이 취지서는 <대한매일신보>와 <황성신문> 등 신문에 실리면서 전국으로 퍼져나갔어요.

누가 참여했나요?

고종 황제가 운동에 참여하는 국민을 생각해 길례를 미뤘다는 기사
고종 황제가 운동에 참여하는 국민을 생각해 길례를 미뤘다는 기사(‘황제 폐하의 뜻이 하늘과 같다’, 대한매일신보, 1907년 3월 7일자)

신문을 통해 취지서를 본 국민들은 깜짝 놀라 나라를 지키기 위해 국채보상운동에 함께 참여하기 시작했어요.
반찬을 줄이고, 머리카락을 자르고, 담배를 끊으면서 돈을 아껴 *의연금(義捐金)을 내었습니다.

당시 대한제국의 황제였던 고종 황제도 담배를 태우지 않기로 결심하고 운동에 참여했어요.

대구뿐만 아니라 여러 지역에서 국채보상운동을 함께하겠다는 단체들과 의연금을 모으기 위한 모금소가 생겨났어요.

특히 <대한매일신보> 신문사는 작은 마을에서 일어난 의연 이야기나 돈을 낸 사람들의 명단, 운동의 문제점 등 운동에 관해서라면 모든 내용을 다 실을 정도로 국채보상운동을 든든하게 도와주는 역할을 했답니다.

*의연금(義捐金) 이란?
공익적인 목적이나 자선을 위해 내는 돈.

국채보상운동은 어떻게 끝났나요?

일본은 운동을 적극적으로 도와주었던 <대한매일신보>의 사장 어니스트 베델과 편집을 맡았던 양기탁이 보상금의 일부를 빼돌렸다고 누명을 씌워 체포했어요.
운동의 중요한 인물이었던 두 분의 체포 소식이 들리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국민들은 점차 힘을 잃기 시작했고, 결국 운동은 실패로 끝나고 말았습니다.

국채보상운동을 왜 기억해야 하나요?

국채보상운동은 나라를 위해 평범한 사람들이 함께 만들어간 운동이에요.
또한, 당시 사회 참여가 적었던 여성들이 적극적으로 운동에 나서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여성과 남성이 동등한 시민의 권리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지금까지도 남아있는 국채보상운동의 아카이브를 보면, 손으로 직접 썼던 흔적이 보이거나 국민들이 운동에 참여한 모습을 실은 신문기사가 많이 보관되어 있어 100년 전의 이야기를 쉽게 알 수 있답니다.
이렇듯 나라의 국민으로 책임을 다한 운동을 오래도록 기억하기 위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아카이브를 등재해두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