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의 씨앗을 만들고, 퍼뜨리다

운동의 문을 열어 불을 지핀 그들의 삶을 살펴본다.

어니스트 베델(Ernest Thomas Bethell, 1872~1909)

어니스트 베델

1904년 러일전쟁을 취재하기 위해 영국 <데일리 크로니클>의 특별통신원 신분으로 한국에 왔다. 이후 그는 특파원을 그만둔 뒤 1904년 7월 18일 영문판 <코리아 데일리 뉴스>와 <대한매일신보>를 정식 창간했다. 1907년 5월에는 한글 전용 신문을 새로 창간해 3개의 신문을 발행하기도 했다. 1905년 베델은 을사조약 체결에 대항해 <황성신문>에 게재된 장지연의 논설,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을 극찬하고, 조약의 부당함을 폭로하는 기사를 실었다. <대한매일신보>는 항일 민족운동을 크게 고취하여 발행 부수가 1만 부를 넘어설 정도로 많은 이들의 인기와 신뢰를 받고 있었다.

국채보상운동을 가장 적극적으로 보도했던 곳도 <대한매일신보>였다. 각지에서 설립된 기성회 취지서와 의연금 납부자 명단도 게재하며 운동을 홍보하기 위해 앞장섰다. 일제 통감부는 <대한매일신보>와 <데일리 크로니클>에 보도한 기사가 ‘소요를 일으키거나 공안을 해친다.’며 영국 정부에 베델을 처벌할 것을 요구했고, 그는 6개월 근신이라는 유죄판결을 받았다. 일본의 술수가 계속되면서, 국채보상운동에도 위기가 찾아왔다. 베델과 <대한매일신보>의 편집인 양기탁이 국채보상금 일부를 횡령했다는 거짓 보도를 낸 것이다. 베델은 명예회복을 하기 위한 재판을 열어, 1909년 승소해 보상금을 받았다. 그러나 1909년 5월 1일, 베델은 갑작스럽게 사망하고 만다. 그는 죽기 전 “나는 죽을지라도 (대한매일)신보는 영생케 하여 한국 민족을 구하라.”는 유언을 남겼다.
독립운동을 적극적으로 도와주었던 그가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신문사에는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글들이 도착했다.

1968년,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며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